제사 지방쓰는법 및 주의사항 알아보세요

제사 지방쓰는법 및 주의사항 알아보세요

    제사 지방쓰는법 및 주의사항 알아보세요

     

    제사를 지낼때 지방을 쓰게 되는데, 매번 쓸때마다 조금씩 헷갈리거나 이상하게 쓰게 되는데요.  이제는 저도 어른들의 제사를 모셔야 되다보니 지방쓰는법을 익혀야 될때가 된거 같습니다.



    지방은 부모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는 단독으로 지내기 때문에 지방에도 한 분만 쓰게 되고, 두 분 다 돌아가셨다면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쓰면 됩니다.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쓰면 됩니다.



    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를 적으며, 고인의 이름과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으며 됩니다.  오늘은 제사 지방쓰는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사 지방쓰는법

     

    1. 고인과 제주의 관계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顯祖考(현조고), 顯祖妣(현조비), 顯曾祖考(현증조고), 顯曾祖妣(현증조비)’라고 씁니다. 남편은 顯辟(현벽)이라고 쓰며, 아내는 ‘顯(현)’을 쓰지 않고 亡室(망실) 또는 故室(고실)이라 하며 형은 顯兄(현형), 형수는 顯兄嫂(현형수), 동생은 亡弟(망제), 또는 故弟(고제), 자식은 亡子(망자), 또는 故子(고자)라고 합니다.



    2. 고인의 직위

    전통적으로는 남자 조상이 벼슬을 한 경우에는 벼슬의 이름을 쓰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급에 따라서 貞敬夫人(정경부인), 貞夫人(정부인), 淑夫人(숙부인) 등의 호칭을 나라에서 받았기 때문에 그 호칭을 사용했고 벼슬을 안 한 경우 남자 조상은 ‘學生(학생)’이라 쓰고, 그 부인은 ‘孺人(유인)’이라 썼습니다.


    3. 고인의 이름

    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府君(부군)’이라고 쓰며, 여자조상이나 아내는 본관과 성씨(사례에서는 ‘김해 김씨’)를 씁니다.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 이름(사례에서는 ‘길동’)을 씁니다.  다양화된 현대 사회에서는 공직이 아니더라도 사회적으로 지위를 얻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여자가 공직을 지낸 경우도 흔합니다.  예를 들어 밀양 박씨 여자가 서기관을 지낸 경우 현대 사회상에 맞추어 직위에 ‘서기관’이라고 쓸 수도 있을 것 입니다.



    제사 지방쓰는법 주의사항 


    지방에 고인 외에 제사를 받드는 봉사자를 기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는 큰 아들인 경우 ‘孝子’, 작은 아들인 경우 ‘子’, 큰손자이면 ‘孝孫’, 증손자이면 ‘孝曾孫’, 남편이면 ‘夫’라 쓰며 봉사자는 오른쪽으로부터 마지막 줄에 기록합니다. 



    예를 들면 ‘孝子○○봉사’라고 쓰며 ○○는 이름을 적으면 됩니다. 최근에는 한글로 지방을 쓰는 집안도 늘어나고 있으며, 이때는 ‘어머님 신위’, ‘아버님 신위’ 등으로 간단하게 쓸 수도 있고, 한자의 우리말 표기만 써서 ‘현고학생부군신위’와 같이 쓰기도 합니다.



    어릴 때는 집안의 어르신들이 작성하는 것이라 여겨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았지만, 어쩌다 보니 제가 어른이 되어 지방을 쓰게 되는 날이 오게 되었네요.   물론 작성 방법을 알고 있어도 자주 있는 일이 아니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자꾸 잊혀지거나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렇다고 잊을수가 없으니 당연히 기록을 해놓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지방은 보통 한지에 붓글씨로 작성하지만 요즘에는 컴퓨터로 인쇄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답니다.  또한 보통은 한자로 작성하지만 요즘은 한글로 작성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는데요.  이처럼 시대가 변화면서 제사 문화도 조금씩 달라지고 있는거 같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